요즘처럼 눈이 건조한 날에는 인공눈물을 자주 사용하게 되는데요. 저도 일회용 인공눈물을 가방에 넣어 다니면서 사용하는데, 인공눈물 유통기한 지난거를 사용하면 오히려 눈 건강에 해롭다고 합니다. 1회용 인공눈물의 경우 유통기한이 어느 정도인지 다회용 인공눈물 유통기한과 차이가 있는 이유가 뭔지 확인 후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인공눈물 뜻
말그대로 인공적으로 만든 눈물이에요. 눈에 눈물이 부족하면 뻑뻑하고 건조해지며, 심하면 통증이 느껴질 수 있어서 인공눈물을 사용해 눈을 촉촉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스마트폰과 컴퓨터 하는 시간이 많아서 눈이 자주 건조하고 피곤해요. 그래서 일회용 인공눈물을 늘 사용합니다.
건조한 눈을 촉촉하게 해 주고, 안구건조증을 완화해 주는 고마운 아이템이지만 제대로 사용해야 하는데요. 특히 일회용 인공눈물 유통기한을 신경 써야 합니다.
1회용 인공눈물 유통기한
- 개봉전 : 1년 (포장지에 표기된 기한 확인)
- 개봉후 : 1일 이내 (24시간 이내 사용)
인공눈물의 경우 개봉전후로 유통기한이 달라지는데요. 일회용 인공눈물은 다회용 인공눈물보다 유통기한이 짧아요. 이유는 방부제가 들어 있지 않기 때문이에요.

개봉전후 일회용 인공눈물 유통기한
하나씩 낱개로 포장된 1회용 인공눈물은 개봉전에는 유통기한이 1년 정도로 긴 편이지만 개봉후에는 1일로 짧아집니다. 때문에 미개봉 상태의 유통기한만 생각하고 사용해서는 안 돼요. 개봉한 것은 하루에 다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남았어도 아깝다고 생각하지 말고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괜히 일회용이라는 이름이 붙은 게 아니에요.
인공눈물 유통기한 지난거 부작용
일회용은 방부제가 들어 있지 않아서 개봉 후 세균 번식의 위험이 높아요. 세균 번식한 인공눈물을 사용하면 눈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눈은 상당히 민감한 부위라서 변질된 인공눈물을 사용할 경우 통증, 충혈, 가려움 등이 발생할 수도 있어요.
유통기한 지난 인공눈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 외에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도 무척 중요해요. 인공눈물을 뜯고 바로 넣을 경우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이 있습니다.

올바른 1회용 인공눈물 사용법
인공눈물 사용기한 지키기
앞서 소개해드린 미개봉 상태 1년, 개봉 후 하루를 꼭 지켜서 사용해야 돼요. 특히 개봉 후에는 세균 번식 위험이 있어서 24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 한방울 버리기
미세 플라스틱이 점안액에 들어갈 수 있어서, 처음 한두 방울은 버린 다음에 사용해요 돼요. 아깝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눈 건강을 위해 첫 1~2방울은 버리고 점안하세요.
손을 꼭 씻기
인공눈물을 점안할 때는 손으로 눈꺼풀을 만져야 하고, 용기도 만져야 하는데요. 손이 더러우면 눈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요. 손에는 수많은 세균이 있기 때문에 늘 깨끗하게 해야 하며, 인공눈물을 점안할 때는 반드시 씻어야 합니다.
사용 횟수 지키기
나의 눈 상태에 따라 사용 횟수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하루에 4~5번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해요. 시간 간격은 3시간 정도가 알맞습니다. 눈의 건조함 정도에 따라 조정해서 사용하세요.

다회용 인공눈물 유통기한 얼마
1회용은 개봉후 24시간이지만 다회용의 경우 개봉후에도 유통기한이 긴 편이에요. 다회용이라는 말처럼 여러번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라서 개봉후에도 두고두고 사용할 수 있어요. 물론 개봉하면 유통기한이 짧아집니다.
- 다회용 인공눈물 유통기한 미개봉 상태 : 1~3년
- 개봉후 다회용 인공눈물 사용기한 : 한 달
다회용에는 방부제가 함유되어 있어서, 유통기한이 일회용보다 긴 편이에요. 하지만 개봉을 하면 세균 번식 위험이 있어서 한 달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언제 개봉했는지 헷갈리기 때문에 제품에 개봉 날짜를 표기하고 사용하는 것을 추천해요. 번거롭더라도 개봉할 때 꼭 날짜를 적어두세요.

다회용 인공눈물도 하루에 4회 정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며, 용기 입구를 손으로 만지거나 안구에 닿지 않게 조심해서 사용하세요. 인공눈물도 너무 자주 사용하면 좋지 않아서 안구 건조 방지하는 습관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은데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안구건조증 예방에 도움 된답니다.
1. 스마트폰, 컴퓨터 사용시간을 줄여주세요.
2. 틈틈이 눈을 깜빡이고, 눈을 감고 휴식을 해주세요.
3. 따뜻한 물수건으로 눈 주변을 찜질해 주세요.
4. 실내 습도를 40~60%로 유지해 주세요.
5. 충분히 물을 섭취해서 몸 전체에 수분을 채워주세요.
6. 눈에 좋은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세요.
7. 렌즈는 장시간 착용하지 않아야 해요.
8. 눈이 피로하고 건조한 날에는 렌즈대신 안경을 착용해요.
9.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고 나의 눈 상태를 확인하세요.
인공눈물은 눈 건조함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잘못 사용하면 눈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만큼 유통기한이나 사용법을 숙지하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활 경제 > 정보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월초파일 뜻 2025 석가탄신일 날짜 언제 (0) | 2025.04.03 |
---|---|
2025년 곡우 날짜 뜻 관련 음식 알자 (0) | 2025.04.01 |
인천 신포시장 닭강정 내돈내산 최신 가격 (0) | 2025.03.29 |
벚꽃 꽃말 뭘까 만개시기도 알아보자 (0) | 2025.03.27 |
2025년 청명 한식날 양력 날짜와 음식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