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식을 한 것도 아닌데 장이 안좋은 것 같은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장에 피로가 쌓였기 때문일 수 있으면 이를 그대로 두면 장이 안좋을때 나타나는 증상인 설사, 변비, 식욕저하, 복부 팽만 등이 발생합니다. 장이 안좋을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증상을 해소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장이 안좋을때는 원인부터 알아야 합니다. 장은 스트레스나 생활습관에 영향을 받기 쉬우며 질병의 영향으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평소 육류, 튀긴 음식, 가공식품, 탄산음료 등을 즐겨 먹을 경우 나쁜균이 증가하고 장내 환경이 나빠집니다. 이로 인해 설사, 변비, 복통, 복부팽만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장이 안좋을때 나타나는 증상인 설사
폭음, 폭식을 하거나 바이러스나 세균, 기생충에 감염되면 설사를 하게 되며 1~2주 내에 가라앉습니다. 설사를 할 때는 이온음료를 충분히 마시면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설사는 급성과 만성이 있으며 1~2주 내에 가라앉지 않고 1개월 이상 지속되면 만성설사입니다. 만성 설사는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베체트병, 과민성 장 증후군, 만성 췌장염 등으로 발생하기 쉬워서 주의해야 합니다. 만성 설사라면 진찰받아봐야 합니다.
식욕저하는 장이 안좋을때 나타나는 증상
몸과 마음이 건강한 상태일 때는 식욕이 있습니다. 배가 고프면 식욕이 생기는 것은 정상적인 생리현상입니다. 하지만 장 건강이 나빠지면 음식을 먹고 싶은 욕구가 저하되거나 사라집니다.
장이 안좋을때 복부팽만감
장에 많은 가스와 대변이 쌓여서 배가 빵빵하게 느껴지는 복부팽만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변비와 섭취한 음식,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인해 복부팽만감이 나타나며 가스 배출을 참으면 위장 운동이 저하되는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음식으로 장이 안좋을때 나타나는 증상을 예방
장내 환경을 정돈하고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좋은균을 포함한 식재료와 먹이가 되는 식재료를 둘 다 챙기면 좋습니다.
요구르트 등의 발효식품
발효식품은 장 건강에 도움이 되는 유산균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요구르트, 된장, 김치, 치즈 등이 대표적 발효 식품으로 이를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장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유산균의 먹이 수용성 식이섬유
사과, 미역, 키위, 딸기 등에는 수용성 식이섬유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유산균의 먹이가 되어줍니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혈당의 급상승을 막고 콜레스테롤을 배출시키는 효과도 있습니다.
유산균의 먹이 올리고당
올리고당이 포함된 음식도 식이섬유와 마찬가지로 장내 좋은균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우엉, 양파, 마늘, 바나나, 콩 등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장에는 면역세포의 70%가 존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장내 환경을 좋게 만드는 것이 건강한 몸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장이 안좋을때 나타나는 증상인 설사, 변비가 있으면 습관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질병으로 인해 장이 안 좋은 경우도 있어서 증상이 지속되면 검사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튼튼 > 증상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혈구 수치가 높으면 이유 (0) | 2021.11.12 |
---|---|
심방 세동 부정맥 증상 (0) | 2021.11.09 |
위내시경 조직검사 하는 이유 (0) | 2021.11.05 |
혈압이 갑자기 높아지는 이유 증상 (0) | 2021.11.03 |
뇌mri로 알수있는병 알아두세요 (0) | 2021.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