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이 울렁거리면 소화불량이나 멀미 등을 떠올리게 되는데요. 속이 울렁거리고 어지러움에 두통까지 있으면 단순히 체한 것이 아니라 심각한 뇌질환이나 귀질환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속이 울렁거리고 두통이 지속되거나 심해질 때 의심할 수 있는 질병과 대처법을 확인해 두세요.
속이 울렁거리는 증상은 흔하며, 대부분 소화불량, 멀미, 스트레스 등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소화불량 : 과식하거나 기름진 음식을 섭취했을 때 소화가 잘 되지 않아 속이 울렁거리고 답답하게 느껴졌던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 같습니다.
멀미 : 움직이는 차 안에서는 평형감각기관의 혼란으로 인해 멀미가 발생하고 구토, 어지러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도 속이 울렁거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속이 울렁거리고 어지러움이 동반된다면 단순한 소화불량이나 멀미가 아닐 수 있습니다.
귀질환으로 인한 증상
이석증
귀질환 중 하나인 이석증 증상으로 갑자기 세상이 빙글빙글 도는 것처럼 어지럽고 속이 울렁거리고 메스꺼움, 구토가 발생합니다. 특히 머리를 움직일 때 증상이 심해져서 일상생활을 제대로 할 수가 없습니다.
이석증 원인
귀 안에 있는 작은 돌멩이 같은 이석이 움직이면서 평형감각을 당당하는 반고리관을 자극해 어지럼증을 느끼게 되는 것인데요. 이석증이 생기는 원인으로는 노화, 머리 외상, 감염 등이 있습니다.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치료 가능하기 때문에 어지럽고 속이 울렁거리고 두통이 발생했을 경우 참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메니에르병
귀 안 내이에 문제가 발생한 상태로 어지러움, 두통, 귀 먹먹함, 이명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보통 어지러움이 심하면 신경계 반응으로 속이 울렁거리고 구토까지 하게 됩니다. 증상은 개인차가 있어서 의사와 상담 후 자신에게 맞는 치료법을 찾아야 하는데요. 충분한 휴식, 스트레스 관리, 약물 치료 등이 도움 됩니다.
속이 울렁거리고 어지러움이 느껴질 때 주의해야 하는 질환은 뇌질환입니다. 귀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 아니라 뇌졸중, 뇌출혈, 뇌종양 같은 질환으로 속이 울렁거리고 두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질환으로 인한 증상
뇌경색
뇌로 가는 혈관이 막혀서 혈액이 흐르지 못하게 되면, 갑자기 어지럽고, 메스껍고,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고, 말이 어눌해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출혈
뇌혈관이 터지게 되면 심각한 두통과 시야 장애, 균형감각 상실이 나타나며 이는 서둘러 치료해야 합니다. 뇌출혈의 한 유형인 지주막하 출혈의 경우 평생 경험해보지 못한 정도의 심한 두통이 나타나고 구토, 메스꺼움이 느껴집니다.
뇌경색, 뇌출혈 등의 뇌졸중은 골든타임이 있으며, 신속하게 치료해야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뇌종양
뇌 안에 종양이 자라면 주변 조직과 신경을 압박하면서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는데요. 두통, 어지러움, 구역질, 구토, 시야 장애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 심한 두통이 발생합니다.
위장 질환으로 인한 증상
위염 및 위궤양
위에 염증이 생기면 구토, 속쓰림 등 우리가 흔히 아는 증상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두통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소화기계에 문제가 생기면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끼쳐서 어지럼증, 두통 등도 발생합니다.
속이 울렁거리고 머리아플 때 대처법
-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미지근한 물을 마십니다.
- 차가운 수건을 머리에 올려 두통을 진정시킵니다.
- 온찜질팩을 배에 올려 소화를 촉진하고 통증을 완화합니다.
- 소화불량으로 인한 것이라면 소화제를 복용합니다.
위 방법으로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으면 병원을 방문해 진찰받아보는 것이 습니다. 구토, 설사, 고열 등이 동반될 경우 단순히 체한 것이 아니라 다른 질환일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진찰받아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통증을 방치하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합니다. 조기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고 빠르게 건강을 회복하시기 바랍니다.
'건강 튼튼 > 증상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 수치 공복 식후 정상범위 알아보기 (0) | 2024.12.16 |
---|---|
빈혈 혈색소 수치 높은 이유 정상수치 얼마 (0) | 2024.11.27 |
명치 누르면 통증 심한 이유 뭘까 (0) | 2024.10.28 |
생리통 심할때 지압 방법과 자세 (0) | 2024.10.09 |
환절기 알레르기 비염 증상 완화하려면 (0) | 2024.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