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년회 망년회 뜻 차이점과 인사말 추천

반응형

연말이 되면 자주 듣는 단어 송년회와 망년회 뜻을 알고 계신가요.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 같은데 자세히 살펴보면 송년회 망년회 차이점이 있다고 합니다. 송년회와 망년회 한자 뜻을 하나씩 확인하고 송년회 인사말도 알아둘 수 있었으면 합니다.

 


12월은 송년회 망년회가 있는 바쁜 달입니다. 일주일에 1~2번 정도 모임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연말이 가까워지면 하루에도 여러 번의 모임을 갖기 때문에 피로가 쌓이기 쉽습니다.

 


해마다 송년회 망년회를 하는데 막상 둘의 차이를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둘 다 연말 모임이니까 상관없지 않을까요.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송년회 뜻과 망년회 뜻을 한자로 풀이해 보면 차이점이 있습니다. 송년회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자로 송년회 뜻

送年會 한자 뜻을 풀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送(보낼 송): 보내다, 한 해를 보내다를 의미합니다.
  • 年(해 년): 한 해 또는 연도를 의미합니다.
  • 會(모일 회): 모임을 의미합니다.

 

즉, 송년회는 한 해를 보내는 모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연말에 직장 동료, 친구, 가족 등과 함께 한 해를 돌아보고 마무리하는 의미로 열립니다. 제게 송년회는 지난 한 해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감사했습니다. 올해 잘 마무리하고 새해에는 더 많은 좋은 일이 가득하길 바랍니다. 라는 긍정적인 느낌입니다.

 

 

한자로 망년회 뜻

忘年會 한자 뜻을 풀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忘(잊을 망): 잊다, 잊어버리다를 의미입니다.
  • 年(해 년): 한 해 또는 연도를 의미합니다.
  • 會(모일 회): 모임을 의미합니다.

 

즉, 망년회는 한 해를 잊는 모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과거의 고생, 어려움, 싫은 일, 괴로운 일을 잊고 새해를 맞이하자는 의미가 강조됩니다. 제게 망년회는 지난 한 해 괴롭고 힘들었으니 오늘은 고통을 잊고 마음껏 마시고 즐기자라는 느낌입니다.

 

 

송년회 망년회 차이 뭘까

비슷한 것 같은데 송년회는 한 해를 보내는 아쉬움이 있는 긍정적이고 따뜻한 분위기라면, 망년회는 괴로움을 잊기 위한 모임이라는 부정적인 분위기가 있습니다. 망년회에는 왠지 과음을 하고 일탈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망년회의 경우 일본에서 유래된 단어이기도 합니다. 일본은 연말에 망년회를 열어 함께 음식을 먹고, 술을 마시고, 춤을 추며, 한 해의 고단함을 잊었다고 합니다.

 

  • 송년회 : 한 해를 보내는 아쉬움과 새로운 시작에 대한 기대가 있는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
  • 망년회 : 한 해의 괴로움, 고통, 나쁜 일을 잊고 싶은 부정적인 마음이 느껴지는 단어

 

따라서 망년회보다는 송년회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망년회가 아닌 연말 모임이나 송년 파티라고 표현해도 좋습니다.

 

 

송년회 망년회 인사말 추천

한 해를 잘 마무리하고 새로운 시작을 다짐하는 자리인 송년회를 앞두고 인사말을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송년회 문자 메시지를 통해 감사한 마음과 긍정적인 에너지를 전달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가족 : 우리 가족, 올 한 해 고생 많이 했어요. 서로 힘이 되어 주고, 웃으면서 잘 버틴 것 같아요. 새해에는 더 건강하고 행복한 일들만 가득하길 바라요. 서로에게 더 많은 사랑과 힘이 되어주자고요. 사랑합니다.

  • 동료 : 지난 한 해, 함께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힘든 순간들을 잘 이겨낼 수 있었습니다. 2024년 잘 마무리하시고, 새해에는 더욱 행복하고 좋은 일들만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 지인 : 올 한 해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다가오는 새해에는 더 많은 기쁨과 행복이 찾아오길 기원합니다.

  • 친구 : 지난 한 해 함께 웃고 힘이 되어줘서 너무 고마워. 힘든 순간에 네가 곁에 있어줘서 견딜 수 있었어. 앞으로도 계속 서로 힘이 되어주자.

 

오늘 하루 송년회 뜻에 대해 알아두는 것은 물론 한 해의 고마움과 새해의 대한 기대를 담아 소중한 사람들에게 인사말을 보내면 어떨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