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이 되면 온도와 습도가 높아서 음식이 쉽게 상하고 식중독에 걸리기 쉽습니다. 이 때문에 비오는날 회 먹어도 되나요 걱정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비오는날이나 더운 날에는 회 먹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정말일까요.
비 올 때 회를 먹으면 안 좋다는 이야기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비오는날 회 먹으면 안 된다는 말은 왜 생겼을까요.
1. 비는 주로 여름 장마철에 많이 내리며, 여름에는 날씨가 더워서 식재료가 부패하기 쉽기 때문에 비가 오면 회를 먹으면 안 된다는 설이 있습니다.
2. 비가 오면 바닷물이 순환하고 바닥에 있는 유해물질이 물 위로 떠오르며, 이를 물고기가 먹기 때문에 안 좋다는 설이 있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비오는날 바닷물 순환이 되어 수질이 좋아집니다.
3. 비가 오면 고기를 잡으러 출항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항에 오래 있던 생선으로 회를 뜨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이유로 비오는날 회 먹으면 안 된다는 설이 있습니다.
4. 비오는날에는 후각이 예민해져서 생선의 비린내를 더 잘 맡게 되고 이 때문에 비오는날 회를 먹는 것을 꺼리는 사람이 생겼다고 합니다.
비오는날 회 먹어도 되나요
네. 비오는날 회 먹어도 됩니다. 과거에는 유통 및 보관 기술이 발전하지 않아서 비오는날 회 먹으면 안 된다는 속설이 있었지만, 현재는 유통 및 보관 기술이 발전해서 신선한 회를 먹을 수 있습니다. 장마로 출항 하지 않아도 양식으로 키운 회를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생선의 신선도를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식중독과 습도
식중독이 걱정되어 비오는날 회 먹어도 되나요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습도가 높으면 세균이 빠르게 증식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습도 보다는 온도와 공기 노출시간에 영향을 받습니다.
습도가 식중독균 증식에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조영제 교수가 넙치 살을 식중독균에 옮긴 뒤 겨울철 평균 습도인 40%, 여름철 70%, 비 오는 날 90%에서 각각 배양했더니 세균 수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고 합니다.
비가 오더라도 음식을 냉장고에 보관하고, 신선한 음식을 먹는다면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비오는날 회 먹을 때 주의사항
신선한 생선을 사용해더라도 요리 과정에서 조리 도구를 통한 교차오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위생적인 시설에서 조리해야 하며, 조리 도구 또한 깨끗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식중독을 일으키는 비브리오균의 경우 생선 살까지 침투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생선 껍질, 내장에는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장이나 비늘째 먹는 회는 조심해야 합니다.
비오는날도 안전하게 회를 먹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신선한 회를 선택합니다.
회는 신선해야 안전하게 먹을 수 있고 맛도 좋습니다. 빛깔이 선명하고 윤기가 흐르는지, 눈이 맑은지, 지느러미가 싱싱한지, 살짝 눌렀을 때 탄력이 있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회를 깨끗이 손질합니다.
회를 손질할 때는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합니다. 손에 묻은 세균이 회로 옮겨질 수도 있어서 물로 깨끗하게 씻어야 합니다. 사용하는 도마, 칼 등도 깨끗해야 합니다.
회를 냉장고에 보관합니다.
회를 손질한 후에는 냉장 보관합니다.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으로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냉장 보관할 때는 랩으로 싸면 수분이 날아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회 냉장보관 시간은 최대 24시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회를 바로 먹습니다.
회는 가능한 한 빨리 먹는 것이 좋습니다. 회를 오래 보관하면 세균이 번식하여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손에는 많은 세균이 있기 때문에 회를 먹기 전에 손을 깨끗하게 씻는 것도 중요합니다.
비오는날에도 신선한 회를 선택하여 절절하게 조리하고, 보관하면 안전하게 먹을 수 있습니다. 좋아하는 회를 비 때문에 못 먹는 일은 없었으면 합니다.
'생활 경제 > 정보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 금 한돈 중량 몇 그람일까 (0) | 2023.08.31 |
---|---|
강아지 복숭아 먹어도 되나요 (0) | 2023.08.24 |
9월 가을 안부 인사말 (0) | 2023.08.19 |
어르신 기념일 계산기 환갑, 칠순, 팔순 나이 (0) | 2023.08.17 |
민방위 대피소 위치 찾는 방법 (0) | 2023.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