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감은 가을을 대표하는 과일로 아삭한 식감과 달콤한 맛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다만 바로 수확한 단감의 경우 떫은맛이 있어서 단감 후숙을 통해 단맛을 증가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후숙을 위한 단감 보관법과 잘 익은 단감을 오래 두고 먹는 보관법 등을 알아두고 더욱 맛있게 즐길 수 있었으면 합니다.
단감 보관법으로 상온, 냉장, 냉동할 수 있으며 이는 익은 정도나 보관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직 익지 않은 딱딱한 감은 상온 보관하여 후숙한 후에 냉장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덜익은 감을 바로 냉장할 경우 떫은맛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덜익은 단감 후숙 보관법
덜익은 것을 구입했을 경우 냉장고가 아닌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2~3일 보관합니다. 이때 감꼭지를 아래로 향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감 후숙하기
푸르스름하고 단단한 감을 빨리 익혀 먹고 싶다면 사과와 함께 보관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감 자체에서도 에틸렌가스가 발생하지만 사과 또한 에틸렌가스를 많이 발생시키는 과일이라서 함께 봉투에 담아두면 후숙이 빨라집니다.
익은 단감 보관법 냉장보관
단감을 계속 상온 보관하면 물러지거나 곰팡이가 생길 수 있어서 오래두고 먹기 위해서는 냉장보관을 해야 합니다. 하나씩 비닐랩으로 싸서 보관하면 좋은데 이때 단감 꼭지 부분에 물에 살짝 적신 키친타월을 덮어주면 보관기간을 늘릴 수 있습니다.
1. 씻지 않은 상태로 보관합니다. 씻으면 단감 표면의 왁스가 씻겨져서 수분이 증발하기 쉬우며 이로 인해 보관기간이 짧아질 수 있습니다.
2. 물에 적신 키친타월을 단감 꼭지에 맞춰 덮은 후 랩으로 감싸면, 꼭지가 건조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감은 꼭지가 마르면 점점 부드러워집니다.
3. 랩으로 하나씩 감싸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습니다. 단감 외에도 과일을 보관할 때 랩으로 감싸면 수분 증발을 막아서 신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과일끼리 닿아서 상처 나고 곰팡이 생기는 것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번거롭더라도 랩으로 싸는 것을 추천합니다.
4. 감꼭지가 아래로 향하게 냉장고 야채실에 보관합니다. 감은 온도가 낮은 곳에서 보관하는 것으로 숙성을 늦출 수 있기 때문에, 익은 감이라면 가능한 한 빨리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감 보관할 때 꼭지를 아래로 향하게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감은 꼭지 부분으로 호흡을 하며, 호흡을 많이 할 수록 건조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꼭지를 아래로 향하게 보관하면, 공기에 노출되는 면적이 줄어 단감의 수분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단감 냉동 보관법
오래 두고 먹고 싶을 경우 냉동 보관하면 몇 개월은 먹을 수 있습니다.
1. 깨끗하게 씻어서 물기를 제거합니다.
2. 꼭지가 붙은 채로 랩으로 하나씩 감쌉니다.
3. 봉투에 한 번 더 담아서 냉동보관합니다.
냉동한 단감을 먹을 때는 실온에서 30분 ~ 1시간 정도 자연 해동을 하면 됩니다. 꼭지를 제거한 다음에 그 부분부터 숟가락으로 떠서 셔벗처럼 먹을 수 있습니다. 껍질을 제거하고 원하는 크기로 자른 후 먹을 수도 있습니다.
단감의 효능과 칼로리
제철 과일에는 영양이 풍부하고 맛도 좋습니다. 따라서 단감이 제철인 가을에는 충분히 단감을 즐길 수 있었으면 합니다.
1. 항산화 성분이 노화를 늦춰줍니다.
2. 비타민과 베타카로틴이 면역력을 증진해줍니다.
3. 잘 익은 것을 먹으면 변비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4. 칼륨이 혈압 관리에 도움을 줍니다.
단감 칼로리는 100g당 50kcal이면 1개를 다 먹어도 100kcal를 넘지 않기 때문에 부담 없이 드실 수 있습니다.
아삭한 식감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감꼭지를 아래로 향하게 하여 보관하시고, 부드러운 식감을 원한다면 사과와 함께 보관하시면 좋습니다. 너무 많이 구입해서 오래 두고 먹어야 할 경우에는 냉동보관하는 방법도 좋습니다.
'생활 경제 > 정보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은 붕어빵 보관 에어프라이어로 데우기 몇분 (0) | 2023.11.21 |
---|---|
2024년 이사방향 방위 이것만은 알자 (0) | 2023.11.13 |
낙지 한코 한접 몇마리 인가요 (0) | 2023.11.01 |
독감 예방접종 후 술 언제 마실수 있나요 (0) | 2023.10.30 |
바늘 한쌈 몇 개인가요 (0) | 2023.10.27 |